캐입 - 캐릭터 이입. 내가 이 캐릭터가 된 것 처럼 채팅을 적는 것입니다. 

 

오너 - 캐릭터의 오너. 즉 주인. 현실의 사람을 말합니다.

 

오너기호 - 오너 대화와 캐릭터의 행동(지문) 을 구별하기 위한 기호로, 

오너로서 하는 말 앞에 붙입니다.  (예시: +안녕하세요. 오너입니다.) 이 경우, +가 오너기호가 됩니다.

오너기호는 작은 이모티콘이나 다른 기호로 사용해서 본인의 개성을 표현 할 수 도 있습니다.

줄여서 오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지문 - 캐릭터의 말과 행동을 표현하는 글입니다. 대화만 있는 대화체(완캐입 방에서 주로 쓰임) 
소설처럼 쓰는 소설체(세계관이 있는 카카오톡 역극방에서 주로 쓰임)

괄호로 대사와 행동을 표현하는 괄호체가 있습니다. 

              

대화체 예시: 
A: 안녕

B: 반가워.

 

소설체 예시: 
A: "안녕" 
나는 그를 보고 살짝 미소지으며 인사한다.

B: "반가워."

나 역시 A를 보고 인사해주었다.

 

괄호체 예시:
A: 안녕
(그를 보고 살짝 미소지으며 인사한다) 

B: 반가워.

(A를 보고 인사해주었다.)

 

지문 길이 - 초단문, 단문, 중문, 장문, 초장문으로 구분합니다.

완캐입 식의 방에서는 초단문이나 단문이, 세계관이 뚜렷한 소설체 방에선

단문부터 장문까지가 주류입니다. 

초단문의 경우 행동묘사 없이 대사만 한 줄 이하로 하는것을 말하며, 

단문은 두 줄을 넘어가고 스무 줄 이하를 주로 단문이라 부릅니다.

중문은 주로 열 줄 이상, 전체보기 미만을 중문이라고 부릅니다. 

장문은 전체보기 이상을 장문이라 부르며, 천 자가 넘어가면 초장문이라 부를 수 있으나 그 기준이 애매합니다.

사실, 대체적으로 저자가 머무는 방에서는 이 기준이 근접하고 대중적이지만, 어느 곳을 가고

누가 어떻게 느끼는지에 따라 단문에서 초장문까지의 기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역극 종류 - 일상역극, 수역(수위역극), 고역(고어역극. 잔인한 역극 혹은 검열이 되지 않은 전투 역극 등), 

앤극(앤관이랑 하는 역극), 전역(전투역극. 전극, 투극 등으로도 불린다.)등이 있습니다.

수역이나 고역은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으며, 원하지 않는 상대가 대답을 결정하지 못하고 당황하는데

억지로 걸었다가 상대방에게 큰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으니 좋아하는 사람 끼리만 합의하에 해야 합니다.

상대방의 침묵은 긍정이 아닙니다! 

 

관계 용어

친관 - 캐릭터끼리의 친구관계 
앤관 - 캐릭터끼리의 애인관계 

지인관 - 캐릭터끼리의 지인관계 

혐관 - 캐릭터끼리의 혐오관계

이외에도 이들을 섞은 친혐관, 앤혐관이나 

다른 관계와 ~관 이라는 단어를 합친 합성어가 존재합니다.

 

 

+광고 한번씩 눌러주고 가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메인🐺 >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필 면접 가이드  (0) 2022.12.13
해결방 규칙  (0) 2022.12.12
NEST 안전 특별 조항  (1) 2022.11.23
역극 매너(자유중참제+세계관)  (0) 2022.11.23
기초적인 예의  (0) 2022.11.11

+ Recent posts